안녕하세요
스타크래프트하면 역시 게임에 많이 등장하는 마린이 가장 떠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스타1때도 대부분의 시네마틱 영상에 마린이 자주 등장하며
테란을 상징하기도 하는 마린이 스타크래프트를 제작하면서도 제일 첫번째로 제작했던 유닛이 아닐까 싶습니다
스타1의 마린은 뭔가 관절도 뻣뻣하고 가동범위가 작아보이는데요
스타2 마린은 디테일면에서 상당히 발전했으면서 가동범위와 여러 현실적으로 고려할만한 요소들을 많이 집어넣은것 같습니다
스타1 마린의 경우 스팀펙과 사정거리업 이 두가지가 주축인데요
보통 스팀펙은 공격을 먼저하게될경우 먼저진행하게되고 방어를 하게될경우 사정거리업을 하는것이 유리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왜 공방업으로 스팀과 사정거리업을 순서를 두냐하면
공격의 경우 상대방이 저그일때 저그는 보통 저글링과 성큰으로 방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스팀펙이 갖춰진 마린이라면 저글링을 스팀펙의 높은 DPS로 녹이는게 가능하고 성큰은 스팀펙의 빠른 이동속도로 일부 무시하고 통과해 본진을 타격하는것이 가능해집니다
방어의 경우 사정거리업을 먼저하게되면 방어를 하기위해 보통 벙커를 짓게되는데요
사정거리업이 안되어있을경우에는 뮤탈이나 드라군에게 벙커가 일방적인 공격을 많이 받게됩니다
때문에 사정거리업을 하게되면 거의 초중반 모든 유닛들의 사정거리에 맞춰서 대응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저그의 경우는 스팀펙이 유리하고 프로토스의 경우는 메카닉이 유리하며 테란의 경우 역시 메카닉이 우세여서
사정거리업을 먼저하는 판은 잘 없습니다
스타2의 경우 업그레이드는 스팀펙과 방어용 방패업그레이드가 있는데요
스팀펙은 스타1과 동일하고 방어용방패는 마린의 체력을 올려 생존력을 증가시켜줍니다
마린 2마리 뒤질거 1마리만 뒤지게 해주며 이는 곧 자원적 우위를 점하게 도와줍니다
여기에 의료선까지 있다면 더더욱 좋겠죠?
마린의 상성은 공격방식이 일반형이라서 거의 모든 상대에게 좋습니다 다만 일부 스플레시 공격을 하는 유닛과 범위공격 스킬이 있는 유닛에게는 마린운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나 프로토스의 리버, 하이템플러는 거의뭐 토스 상대로 바이오닉을 하지말란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오늘은 스타크래프트 마린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에 또 다른유닛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타크래프트 메딕에 대해서 (0) | 2024.08.23 |
---|---|
스타크래프트 파이어벳에 대해서 (0) | 2024.07.27 |
스타크래프트 SCV 에 대해서 (0) | 2024.07.15 |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날 켐페인 프로토스 미션 10. 폭풍의 눈 (Eye of the Storm) (0) | 2023.01.04 |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날 켐페인 프로토스 미션 9. 어둠 사냥꾼 (Shadow Hunters) (0) | 2023.01.03 |
댓글 영역